포커스월드

유엔 회의는 핑계, 진짜 목적은 쇼핑?…미국, 이란 대표단에 ‘코스트코 금지령’ 철퇴

 유엔 총회를 무대로 한 미국과 이란의 날 선 신경전이 뉴욕 한복판에서, 그것도 대형마트와 명품 매장에서 벌어지고 있다. 미국 행정부가 유엔 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하는 이란 외교관들의 활동 반경에 역대급 제한을 가하며 양국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이동 제한을 넘어, 이란 고위층의 상징적인 '쇼핑 리스트'까지 정조준하며 모욕감을 주려는 의도가 다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국무부는 성명을 통해 뉴욕을 방문한 이란 관리들의 이동을 유엔 본부와 관련된 공식 업무 수행에 필수적인 구역으로만 한정한다고 공식화했다. 이는 과거에도 있었던 조치지만, 이번에는 그 내용이 훨씬 더 구체적이고 치졸할 정도로 상세하다. 연방 관보에 게재될 공지에 따르면, 이란 외교관들은 코스트코, 샘스클럽과 같은 회원제 창고형 할인매장에서 회원권을 발급받거나 물건을 구매하려면 미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만 한다. 또한 시계, 가죽 및 실크 의류, 보석, 향수, 전자제품 등 1,000달러가 넘는 사치품은 물론, 6만 달러 이상의 차량 구매 역시 허가제로 묶였다. 이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로 인해 자국 내에서는 구하기 힘든 다양한 공산품과 사치품을 외교관들이 뉴욕 방문을 기회 삼아 조달해왔던 관행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미국이 이토록 이란의 '쇼핑'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토미 피곳 국무부 대변인은 "이란 국민이 빈곤과 낙후된 인프라, 심각한 물·전력 부족에 시달리는 동안, 정권의 성직자 엘리트들이 뉴욕에서 쇼핑을 즐기는 위선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란 정권의 위선적인 행태를 국제 사회에 고발하고, 동시에 이란 국민과는 연대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더 나아가 "유엔 총회를 구실로 뉴욕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테러 의제를 홍보하려는 이란 정권의 시도를 차단할 것"이라며 이번 조치가 미국 국민의 안전을 위한 안보적 결정임을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이 이끄는 대표단의 유엔 총회 참석을 앞두고 발표되어 그 파장이 더욱 크다. 특히 '이란 핵 합의'(JCPOA) 관련 유엔 제재의 전면 복원 가능성이 고조되는 민감한 시점에 나온 노골적인 압박 카드다. 미국은 이란뿐만 아니라, 마흐무드 압바스 대통령을 포함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관리들의 비자까지 차단하며 유엔 총회를 지렛대 삼아 적대국들에 대한 압박 수위를 전방위적으로 높이고 있다. 외교의 장이 되어야 할 유엔 총회가 미국과 반미 국가들 간의 또 다른 전쟁터로 변질되고 있다.